워터맨(WATERMAN): 140년 글쓰기 예술, 한 줄의 품격

손끝에서 흐르는 한 줄의 품격

Waterman Carène Marine Amber Fountain Pen close-up

한 줄의 잉크가 감정을 흔들 수 있을까?
워터맨(Waterman)은 그 질문에 140년 동안 같은 답을 해왔다. “글쓰기는 기록이 아니라 예술이다.”

몇 년 전 파리 출장 동안, 갤러리 라파예트 문구관에서 처음 워터맨을 집어 들었을 때 그 감각은 지금도 생생하다.
직원이 건넨 워터맨 카렝(Carène Marine Amber) — 그 한 자루가 내 글쓰기 습관과 루틴 전체를 바꿔 놓았다.


1. 브랜드의 시작 — 실용에서 예술로

1883년, 보험 세일즈맨이었던 루이스 에드슨 워터맨(L.E. Waterman)은 ‘잉크 누수로 계약을 망치는’ 사건을 겪은 뒤 인생을 바꿨다. 그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모세관 피드(capillary feed) 는 오늘날 모든 만년필 기술의 기초가 되었다.

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 금상 수상은 워터맨을 단순한 필기구가 아닌 “글쓰기 문화를 만든 브랜드”로 자리매김시켰다.

🔗 링크

출처 : www.waterman.com/

2. 파리 감성의 디자인 철학

워터맨의 모든 펜은 파리 본사 아틀리에 장인들의 수작업으로 완성된다.
그래서 워터맨을 손에 쥐는 순간 다른 브랜드와의 차이는 명확하다.

디자인 디테일

  • 깊게 잠긴 듯한 라카(lacquer) 바디의 고급 광택
  • 금장 트리밍의 미세한 반사결
  • 손가락 위에 자연스럽게 놓이는 곡선형 캡 밸런스

파리에서 처음 카렝을 쥐었을 때 그 감각은 ‘도구’보다는 현악기를 연주하는 느낌에 가까웠다. 펜촉이 종이를 스치는 소리조차 리듬이 있었다.

👉 링크 추천:


3. 필기감 — 부드러움 속 단단함

카렝(Carène)을 처음 사용한 날, 가장 놀라웠던 건 “힘을 주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잉크 흐름”이었다. 나는 보통 Lamy 블루블랙 잉크를 사용한다. 워터맨 잉크보다 되직하지 않은데도 카렝의 피드 시스템과 만나면 유속이 일정하고 안정적이다.

  • 필압 거의 ‘0’
  • 곡선마다 자연스러운 굵기 변화
  • 오래 써도 손목 피로 누적 거의 없음

글씨체가 조금 더 정중해지고, 문장의 호흡이 느긋해진다. 단순히 기록하는 시간이 아닌 사고를 정리하는 시간이 된다.


4. 기술과 감성의 조화 — Expert Metallic Black CT 경험

출장이 잦다 보니 최근에는 Expert Metallic Black CT도 함께 사용한다.

  • 반광택 라카 바디의 모던함
  • 스테인리스 클립의 절제된 라인
  • 빠른 회의 기록에서도 잉크 번짐 없음
  • 장시간 필기에도 피로가 적음

잉크가 마르는 순간 종이 위에 남는 미세한 반짝임이 좋다. 생각이 아직 움직이고 있는 듯한 작은 흔적.

👉 관련 내부 링크


5. 나만의 워터맨 루틴

나는 원고를 시작할 때 항상 첫 문장은 워터맨으로 쓴다. 키보드로 쓰기 전에 손으로 먼저 ‘생각을 정제’하는 과정이다. 워터맨으로 쓰면 글의 호흡이 자연스럽게 느려지고, 문장 하나하나를 더 의식하며 쓰게 된다.

2023년 프랑스 카페에서 여행일기를 쓰고 있을 때 현지인이 내 펜을 보고 한 말이 잊히지 않는다.

“Waterman은 생각이 흐르는 방식 그대로 움직이는 펜이죠.”

그 말은 아마 워터맨의 본질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 문장일지도 모른다.


워터맨은 ‘글을 쓰는 도구’가 아니라 ‘생각을 만드는 도구’다

140년 동안 워터맨이 지켜온 건 기술이 아니라 문화를 만드는 태도다. 한 줄의 잉크가 마음의 결을 따라 흘러가며 쓰는 사람의 이야기를 더 선명하게 만들어준다. 작품을 만드는 사람이든, 하루의 감정을 기록하는 사람이든 워터맨은 모두에게 ‘글쓰기의 품격’을 선물하는 브랜드다.

댓글 달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

위로 스크롤